코로나 19 이후의 미래 - 글로벌 공급 체인의 새로운 재편

반응형
반응형

범주 I: (글)로벌 경영환경의 변화

1.     글로벌 공급 체인의 새로운 재편 : https://www.youtube.com/watch?v=Qx0NMJAhwig

 

맥킨지컨설팅 설문조사 결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 위협이 가장 큰이슈가 될 것

그 중 아시아 지역의 타격이 제일 클 것

 

코로나 19 이후에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비접촉 문화가 맞물리며

off+online의 새로운 형태가 나올 것

 

교훈1. 중국 Risk의 영향이 심각하다

글로벌 제조 허브인 중국이 타격을 입어 전 세계가 위기

 

미래1. 중국의 제조 허브 역할은 줄어들 것

코로나 바이러스는 더 탄력적인 공급체인의 필요성을 증명함 - HBR

중국의 글로벌 제조 허브로써의 역할은 종식될 것 - Forbes

애플과 삼성을 보면 공급 채널이자 시장인 중국에서 탈출해야 된다는 위기의식 느끼고 있음

 

미래2. 어디로 가야하는가?

글로벌 기업이 옮겨가는 지역이 새로운 거점이 되고, 그 지역의 경제 성장이 필연적이므로 추이를 잘 지켜보는 것이 중요

멕시코 - 미국 입장에서 임금이 싸고 가까운 멕시코는 전략적인 선택이 될 수 있음. 44개국 이상을 포함한 FTA 체결, 멕시코 생산량은 향후 5년 내 25% 이상 급증 예상. 그러나 부패와 마약이 문제

인도 - 인구는 13억 6천만명으로 세계 2위. 곧 중국 추월 예상. 2019년 6.1% 성장했는데 7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임. 그러나 GDP 대비 부채 비율이 68% 내외로 높은 편이고 1%가 53%의 부를 소유함. 게으른 국민성으로 인해 소프트 뱅크 손정의를 포함하여 인도 투자가 다 실패함

ASEAN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10개국이 참여, 인구 6.5억, 3,000조원의 거대 시장. 2019년 우리나라는 ASEAN과 전략적 제휴를 맺어 쉽게 진출이 가능하다

 

미래3. 지속가능, 유연한 공급망 관리 필요

글로벌 분산화의 도전 : 부품, 원자재 공급의 분산화로 인한 물류 비용 증가로 생산 최적화 등 다양한 기법 도입

제품 가용성의 유연한 확보 : 갑자기 제품 공급 불가 사태 발생, 적정재고 및 유연한 생산계획 필요

증가하는 물류비용 절감 : 생산거점에서 end-user까지 가는 비용 절감을 어떻게 할 것인가?

온라인 중심 판매에 대비 :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판매로 전환하는 능력이 필요, B2C 단가 등 사전적 준비태세를 갖춰야 함

 


 

3줄 요약

1. 수출 국가의 다양화, 글로벌 제조 기업들의 공장 분산화 흐름의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

2. 늘어나는 생산, 물류 비용을 최적화 하라!

3. 블록체인 기반 SCM 공급 채널 관리로 고도화!

 

 


 

2.     기업 연쇄 도산과 2차 금융 위기 : https://www.youtube.com/watch?v=MDwyuttSq-o

3.     위기 돌파형 시나리오 경영 再부상 : https://www.youtube.com/watch?v=R5ukNc5QJZQ

 

범주 II: (개)인 삶과 행동 변화

4.     저소득 시대의 소비자 행동변화 : https://www.youtube.com/watch?v=pm8XFLFKoec

5.     근무방식의 재택.원격.지능화 : https://www.youtube.com/watch?v=4jVWtEpyOqI

 

범주 III: (떠) 오르는 산업변화

6.     디지털 영상 미디어 소비 시대 : https://www.youtube.com/watch?v=L-ql4aoI9uM

7.     유통의 오프+온 결합 디지털 전환 : https://www.youtube.com/watch?v=hWQza8mLzFk

8.     디지털 예방의학 산업의 부상 : https://www.youtube.com/watch?v=DMnWWeVdeL8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